본문 바로가기

주식&코인

연금저축펀드 21개월 적립일지(2022.12.) 12월 중순이 되어 다시한번 연금저축펀드 적립 시기가 되었다. 한달만에 연금저축펀드 적립을 위해 계좌를 열어보는데, 수익률이 상당히 하락해 있었다. S&P500은 -5%, 나스닥100은 거의 -7%의 수익률 변화가 그동안 있었나보다. 매달 적립 금액으로 두 종목간 벌어지는 비중을 맞춰나가고 있기에 이번에도 조금 다른 수량으로 적립해야만 했다. 33만원을 이체한 후 KODEX S&P500TR은 14주, KODEX나스닥100TR은 18주를 추가 매수하여 주었다. 매번 나스닥100의 하락폭이 더 커서 적립 때마다 나스닥100을 조금씩 더 많이 매수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지금 보유수량이 46주나 차이나고 있는데, 뭐 이 수량은 썩 중요한 것은 아닐듯싶다. 비중만 50:50으로 가져가면 비교적 좀 더 싼 종.. 더보기
토스증권. 소수점 주식 모으기(SCHD, BST, JEPI, JEPQ, DIVO, GUNR) 토스 증권에서 편하게 이용하고 있는 소수점 주식 모으기의 주식 종목에 조금 변화가 생겼다. 처음에 토스증권으로 옮겨 오면서 QLD와 SCHD 두 종목의 모으기 설정을 시작했었는데, 기나긴 하락세를 지나오면서 QLD 주식 모으기는 중도 해지를 하고 말았다. SCHD는 그때부터 지금까지 쭉~ 주식 모으기를 이어오고 있는데, 그 이외의 ETF들도 몇가지 주식 모으기를 시작했다. 그래서 현재 내가 주식 모으기 설정을 해둔 종목들을 보자면, SCHD 다우 배당성장 ETF, 매일 10,000원씩 DIVO S&P500 커버드콜 ETF, 매일 2,000원씩 GUNR 세계 원자재 기업 ETF, 매일 2,000원씩 JEPI S&P500 커버드콜 ETF, 매일 2,000원씩 JEPQ 나스닥100 커버드콜 ETF, 매일 2,.. 더보기
아들 주식 계좌 18개월 적립일지(2022.12.) 한달이 또 지나서 12월 초가 되었다. 아들 녀석의 주식에 적금 넣어주는 시기 말이다. 연금저축계좌에 넣고 있는 금액이 아들의 55세까지 묶일터라, 그 전에도 가용성 있을 직투 계좌에 schd를 모아주려고 하고 있다. 지난 달부터 매달 1주씩 schd 적립하기로 말이다. 맘 같아선 매달이 아니라 매주, 혹은 매일 schd를 한주씩 사주고 싶지만, 매달 적립 금액이 15만원 밖에 안되는지라 한달에 1주가 고작인 상황이다. 15만원을 이체하여 schd 1주와 kodex미국나스닥100tr 5주를 매수할 수 있었다. 이번달 적립 매수로 직투 계좌의 schd는 이제 2주가 되었고, 연금저축계좌의 kodex미국나스닥100tr이 256주가 되었다. 나스닥의 수익률이 -14%라 좀처럼 회복되지 못하고 있지만, 연금저축.. 더보기
미국주식. 배당성장 포트폴리오 현황(2022.11.) 투입 금액에는 큰 변동이 없지만 종목별로 몇가지 변경이 있었다. BST 종목이 드디어 토스증권에 종목 추가 되어서 기존에 있던 한국투자증권의 BST를 전량 매도해 버렸다. 아직 달러는 들어오지 않았지만, 토스증권에 묵혀두고 있던 예수금으로 BST를 다른 ETF들과 비슷한 금액대로 소량 매수를 해 주었다. 그리고 얼마 전부터 눈여겨 보고 있던 TLTW 종목을 더 진득히 참지 못하고 매수를 해 버렸다. 더군다나 이 TLTW 종목은 아직까지 토스증권에서 거래 미지원이라서 종목수를 줄여가고 있는 한국투자증권에서 매수를 한 것이다. 나중에 토스증권에 위 종목 추가가 되면 이 또한 매도하여 옮길테니, 다시 생각해 보면 번거로운 일거리만 늘린듯하다. 비록 소액이긴 하지만 무려 20%에 육박하는 월배당의 유혹은 참을 .. 더보기
연금저축펀드 20개월 적립일지(2022.11.) 한달이 또 지나서 연금저축펀드 적립 시기가 돌아왔다. 지난 달과 비교해 수익률이 비슷하게 유지 되는듯한 느낌이 하락세가 조금은 멈춰있는 것 같다. 반등을 할 것인지, 더 큰 하락을 위한 쉬어가는 타임인지는 모르겠지만 말이다. s&p500과 나스닥100의 비중이 더 벌어져 있어서 각각 11주와 20주를 추가 매수 하였다. 덕분에 두 종목의 비중이 50:50으로 맞춰졌다. 매달 적립시마다 나스닥100의 수량이 상대적으로 커지고 있는데, s&p500의 수량을 더 많이 매수하게 될 시기가 빨리 오면 좋겠다. 더보기
아들 주식 계좌 17개월 적립일지(2022.11.) 국내 etf 중에 schd를 모방하는 상품이 오늘 출시되었다. 그렇지 않아도 최근 들어 아들에게도 배당성장 etf를 모아주는 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 중이었는데 말이다. 국내에 출시된 상품의 경우 수수료는 다른 국내 etf에 비해 저렴하게 출시되었다지만, 가장 중요한 배당률이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월배당 상품인 것은 큰 장점이지만 schd에 비해 배당률이 많이 떨어진다면, 투자 매력이 크게 감소하는 것은 당연하니 큰 고민이 되고 있다. 연금저축에서 모으고 있던 나스닥100을 이 제품으로 교체할 것인지, 일반 계좌에서 모아볼 것인지, 아니면 미국장에서 schd를 직접 모아볼 것인지 등등 많은 고민을 하고 있다. 작지만 소중한 아들 녀석의 시드이기에 조금 더 조심스럽게 고민이 이어지는 것 같다. 이런 저런 .. 더보기
미국주식. 배당성장 포트폴리오 현황(2022.10.) 징글징글한 하락세이다. 최근 2주 정도는 뜬금없이 상승 랠리를 이어가고 있는데, 과연 이 하락세가 끝난 것이 맞는지 의구심이 든다. 그래서 매일 올라가고 있는 주식에 발을 담그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내년 초까지 하락세가 이어질 전망이 많아 10월부터 12월까지 4~5번에 나누어 분할 매수를 들어갈 계획이었는데, 주식 가격이 자꾸만 올라가고 있다. 내가 사면 분명히 다시 떨어질터라 매수 버튼을 누르지 않고 꾹 참아 왔다. 토스 증권으로 옮기지 못한 BST를 제외하고, 나머지 종목들은 모두 소액으로 발만 담궈 두었다. 마이너스 수익률이 큼지막 했었는데, 2주간의 상승 랠리로 많이 회복된 모습이다. 하락이 한참 이어질 때 배당주로 DIVO, JEPI, JEPQ를 조금씩 담아 포트폴리오에 추가하였다. 개별주.. 더보기
연금저축펀드 19개월 적립일지(2022.10.) 매달 적립 일지를 쓰면서 항상 하는 생각이지만, 시간이 참 빠르다. 이번달도 적립을 위해 33만원을 이체한 후 오랜만에 연금저축계좌를 열어보았다. 매달 적립식으로 이어와서인지, 상대적으로 많이 오른 환율 때문인지 수익률이 많이 떨어져 있진 않았다. 뭐 나중에 환율이 다시 떨어지면 수익률에서도 손해를 보겠지만, 당장은 크지 않은 마이너스 수익률에 마음이 놓인다. 하락장에서 역시마 s&p500보다 나스닥100의 변동성이 더 두드러지는듯하다. 50:50의 비율을 맞춰가며 적립을 하고 있는데, 매달 비율이 줄어든 나스닥100을 확인하고 있으니 말이다. 이번달에도 그 벌어진 비율을 줄여보고자, kodex미국나스닥100tr을 20주, kodex미국s&p500tr을 11주 매수 하였다. 이 연금저축이 훗날 노후 생활.. 더보기
아들 주식 계좌 16개월 적립일지(2022.10.) 1년동안 하락장이 끝나질 않고 있다. 지나온 1년의 결과를 보면 폭락이라고 할 수 있을텐데, 주식 시장의 분위기는 그만큼의 위기로 보지 않고 있는 것 같다. 아무래도 1년동안 계단식 하락을 은근히 밟아 왔기 때문일까. 분명 하락 중임에도 불구하고, 가랑비에 옷이 젖듯이 하락세에 익숙해져 버린 탓일까. 아직 얼마 적립하지도 못했거늘 수익률이 내려가고만 있다. 지난 달에 비해서 10% 가깝게 하락한 수익률이 보인다. 이번 달에도 15만원을 이체하여 KODEX 미국나스닥100TR을 15주 매수 하였다. 마이너스 수익률은 조금 희석되어 -12.54%가 되었지만, 별반 체감되지 않는 수치일 뿐이다. 자꾸만 커져가는 마이너스 수익률이 조금은 신경 쓰인다. 하지만 20~30년 장기 투자 계획에 비교하면, 이제야 적립.. 더보기
미국주식 배당성장 포트폴리오 현황(2022.09.) 지난 달에 한국투자증권에서 토스증권으로 주식들을 대거 옮기면서 현금화를 시켰었다. 그리고 한달여 동안 미국 증시의 하락장을 살펴보면서 포트폴리오에 맞춰 조금씩 분할로 매수를 하고 있다. 끝도 없이 올라가고 있는 환율이 무서워 1400원이 채 되기 전에 달러로 대량 환전해 두었는데, 그게 조금은 다행이다 싶다. 토스증권에서 아직 미지원하는 BST를 제외하고 전량 매도해 두었던 종목들을 분할 매수 중이다. 몇 차례 나누어 소수점 거래로 동일 금액을 각 종목에 담았는데, 지금까지는 각 종목별로 400달러씩 매수가 되었다. 확실히 소수점 거래를 이용하니 1주당 가격 등을 고려할 필요 없이 동일 비중으로 필요한만큼만 매수가 가능해 포트폴리오 구성에 무척이나 편리함이 느껴진다. 그런데 도대체 이 하락장은 끝나기는 ..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