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코인 썸네일형 리스트형 미국주식. 배당성장 포트폴리오 및 배당금 현황(2023.03.) 3월의 끝자락에 다다라 내 배당성장 포트폴리오의 점검일이 되었다. 사실 이 포트폴리오 및 주식계좌는 자동매수만 걸어 놓을뿐 방치에 가까운 상태이다. 위에서 보이는 배당성장 위주로 짜여진 종목 구성에서 변화가 없이 유지가 되고 있다. 위 종목 중 개별주의 경우에는 하락이 좀 커졌을 경우 추가 매수를 조금 더 해줄뿐 건드리지 않고 있다. 반대로 ETF들은 토스의 주식모으기 기능을 활용해서 매일 소액으로 자동매수를 하고 있다. SCHD는 매달 9.9달러씩, 다른 ETF 종목들은 매일 1달러씩 자동매수 중이다. 적립금액이 워낙 소액이라 한달이 지나도 티가 잘 나지 않는게 불편하지만, 종목수를 줄이거나 적립금액을 키우기는 어려워 어쩔 수 없이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이번달의 배당금은 세후 75달러가 나왔다. 1월.. 더보기 연금저축펀드 24개월 적립일지(2023.03.) 엉망이 되고 있는 내 주식창을 바라보며 내 염려를 담은 망상을 이어가던 중 한번도 해보지 않았던 영역에 대한 의문을 조금 갖게 되었었다. 그 의문이 꼬리를 이어가 미국의 대표 지수추종 종목과 안정적인 배당성장주의 배당재투자를 비교해 어떤 종목이 나에게 더욱 적절한 것인지를 나름 결론을 내려보았었다. 2023.03.06 - [주식&코인] - 배당성장과 지수추종에 대한 비교 및 고찰 배당성장과 지수추종에 대한 비교 및 고찰 아주 예전에 미국주식에 투자를 시작하며 배당성장주와 고배당주에 대한 간단한 비교를 해 보았었다. 2021.06.12 - [주식&코인] - 미국주식. 고배당주와 배당성장주에 대한 고찰 미국주식. 고배당주 still-hungry.tistory.com 나름 계산기 두들겨가며 내렸던 결론은 나에.. 더보기 아들 주식 계좌 21개월 적립일지(2023.03.) 2023년 3월분 적립시기가 되었다. 며칠전 엉터리일테지만 나름 재미난 결론을 지은 것이 있었다. 2023.03.06 - [주식&코인] - 배당성장과 지수추종에 대한 비교 및 고찰 배당성장과 지수추종에 대한 비교 및 고찰 아주 예전에 미국주식에 투자를 시작하며 배당성장주와 고배당주에 대한 간단한 비교를 해 보았었다. 2021.06.12 - [주식&코인] - 미국주식. 고배당주와 배당성장주에 대한 고찰 미국주식. 고배당주 still-hungry.tistory.com 장기적인 생활비 수급 혹은 연금의 확보를 목표로 하는 나에게는 대표적인 지수추종 종목인 s&p500과 나스닥100보다 schd 같은 배당성장주를 배당재투자 하는 것이 더 적합한 기대수익이 예상된다는 것이었다. 물론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만.. 더보기 배당성장과 지수추종에 대한 비교 및 고찰 아주 예전에 미국주식에 투자를 시작하며 배당성장주와 고배당주에 대한 간단한 비교를 해 보았었다.2021.06.12 - [주식&코인] - 미국주식. 고배당주와 배당성장주에 대한 고찰 미국주식. 고배당주와 배당성장주에 대한 고찰요즘 다들 한다는 주식시장에 뒤늦게 나도 뛰어들게 되었다.(나혼자 유행에 뒤쳐질 순 없지!) 주식을 시작하며 이런저런 공부도 할겸 주식에 대한 책들을 스무권 가량 읽었더니 이제는 그 내용still-hungry.tistory.com위 글을 작성하면서 나름 고심 끝에 내린 결론이 무엇이었냐면, 은퇴가 많이 남아 투자기간이 긴 나에게 있어선 고배당주보다는 배당성장주가 훨씬 기대수익이 크다는 것이었다.그래서 미국주식 투자를 배당성장 포트폴리오로 맞추는 것으로 시작을 했었다.물론 중간에 잠깐 .. 더보기 미국주식. 배당성장 포트폴리오 및 배당금 현황(2023.02.) 1월 포트폴리오 현황을 건너뛰어서, 2023년 첫번째 포트폴리오 현황 기록이다. 한달에 겨우 50만원 조금 못되는 수준으로 적립 매수를 하고 있는지라 총 자산의 규모가 잘 커지지 않는 모습이다. 주식이라기보다는 자동이체와 자동매수로 적금이다 생각하고 오랫동안 모아가며, 평소에는 뇌리에서 잊고 지내는게 정신 건강에 이로울듯하다. 각 섹터별 개별주들은 현재 추가 매수를 멈춘 상태이고, 적립 금액 모두를 etf에 집중하고 있다. etf들도 대부분 커버드콜을 활용하는 종목이다보니 딱 하루에 1달러씩만 자동 매수를 하고 있으며, 나머지 금액은 모두 schd에 자동 매수를 걸어놓았다. 토스증권에서 tltw와 iqdg의 거래지원이 아직도 되지 않고 있는데, 이 두 종목만 다른 증권사를 이용해야할지, 아니면 토스증권에.. 더보기 연금저축펀드 23개월 적립일지(2023.02.) 2023년 두번째 연금저축펀드 적립 시기가 되었다. 올해부터 연금저축펀드의 세액공제 한도가 400만원에서 600만원으로 늘어났지만, 월 50만원씩 납입하기에는 아직 무리일듯 싶다. 현재 매달 33만원씩 적립을 꾸준히 하고 있는 것도, 어째서 이게 끊기지 않고 가능한 것인지 의문인 상황에서 적립 금액을 50% 정도 늘리기엔 부담되는 상황이다. 우선은 33만원 그대로 적립하면서 여유 자금의 상황을 좀 살펴봐야겠다. 이번 달도 33만원을 이체한 후 s&p500과 나스닥100 두 종목의 비중을 맞추어 적립을 하려고 봤더니, 그 비중이 크게 벌어져 있었다. 바로 지난 달까지만 하더라도 비중 차이는 크지 않아서 부담 없이 50:50의 비중으로 적립하기 쉬웠는데, 지난 한달 동안 나스닥이 많이 회복하여 올라오면서 두.. 더보기 아들 주식계좌 20개월 적립일지(2023.02.) 2023년 2월 적립 시기가 되었다. 아들 녀석의 주식 계좌에 15만원을 이체한 후 지난 달에 예수금으로 남겨둔 5만원까지 합하여 20만원으로 schd를 2주 매수하였다. 이로써 연금저축계좌에는 kodex 미국나스닥100tr이 256주. 직투계좌에는 schd가 5주가 되었다. kodex 미국나스닥100tr이 -20% 밑으로 내려갔던 것이 그래도 -11%까지 많이 올라온 모습이 보인다. 많이 싸졌을 때 수량을 늘렸어야 되는데, 내 계좌도 아니고 아들 녀석의 계좌에 매달 정해진 금액만 이체하다보니 수량 늘리기가 쉽지 않은 느낌이다. 더군다나 요즘은 schd에 직투하는데 꽂혀서 이녀석만 조금씩 사주고 있다보니 더욱 그러한듯하다. 비중은 아직 이 정도. schd를 늦게 매수하기 시작해서 아직은 고작 15%정도의.. 더보기 연금저축펀드 22개월 적립일지(2023.01.) 시간 참 빨리 지나간다. 또 다시 연금저축펀드 적립일자가 돌아오다니. 하락세가 조금은 멈칫한가 싶었는데, 떨어진 환율 덕분인지 내 연금저축의 수익률은 아직도 지지부진하다. 그 중에서도 나스닥의 수익률이 더 크게 떨어져 두 종목의 비중이 또 다시 크게 벌어져버렸다. 이번 적립으로 두 종목의 비중을 50:50으로 맞추기 위해서 kodex 미국s&p500tr을 14주. kodex 미국나스닥100tr을 21주 적립 매수하였다. 가격이 자꾸만 싸지니 매달 적립 매수하며 수량 늘리기는 좋은 것 같다. 더보기 아들 주식 계좌 19개월 적립일지(2023.01.) 2023년의 첫 적립 시기가 되었다. 역시나 마찬가지로 15만원을 이체하여 SCHD를 적립하고 남는 예수금으로 kodex나스닥100tr을 매수하고자 했다. 그런데 나스닥100의 -20%에 달하는 수익률을 보자 마음이 썩 편칠 않다. 역시나 남자의 마음은 갈대. 이번달은 schd만 1주 매수하고, 나머지는 그냥 예수금으로 놔두기로 했다. 적립일지를 작성하고 있는 지금도 예수금을 이렇게 두는게 맞나 스스로도 의아하지만, 한번쯤은 계획과는 다르게 변덕을 부려보는 것도 문제 없을터이다. 다음달 적립 금액과 합쳐서 schd 적립에 집중해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기도 하고 말이다. 그래. schd 비중을 당분간 키워보는 것 괜찮은 생각 같다. 더보기 미국주식. 배당성장 포트폴리오 현황(2022.12.) 길고긴 하락장 속에서 아직도 허우적 거리고 있는 중이다. 많은 사람들이 경기침체를 예상하고, 추가적인 주가 하락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에서 예수금만 조금 들고서 기다리고 있는 상태이다. 많은 예수금은 아니지만, 완연한 하락세 중에 냅다 추가 매수하기엔 왠지 더 싸게 살 수 있을 기회를 놓칠 것만 같아 손만 빨고 있다. 그래서 토스증권의 소수점 주식 모으기 기능을 통해서 종목별로 소액씩 매일 적립 매수만 하고 있는 중이다. 미국의 패트롤-달러 체제가 앞으로 흔들릴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에 미국 외 신흥국의 대형주에 투자하는 FNDE ETF 종목을 포트폴리오에 추가했다. TSMC를 제외하면 상위 종목의 대부분이 중국 기업이라 불안하긴 한데 배당금이 성장하는 추세가 최근까지 좋았기에, 거의 미국 시장에만 몰빵되어진.. 더보기 이전 1 ··· 4 5 6 7 8 9 10 ··· 16 다음